본문 바로가기
모두를 위한 의학, 보건, 건강 연구 : 또찾고

안락사 존엄사 - 영화 PLAN 플랜 75 를 본 후 개인적이고 짧은 생각. 의료의 범위

by 곰동이와덩달이 2024. 10. 6.
728x90
반응형

디스토피아 : 현대사회의 부정적인 측면들이 극대화되어 나타나는 어두운 미래상. 유토피아와 대비되는, 전체주의적인 정부에 의해 억압받고 통제받는 사회.

plan-75
출처 : happinet-phantom 홈페이지

저출산 고령화가 한층 진행된 가까운 장래의 일본. 만 75세부터 생사의 선택권을 주는 제도 <플랜 75>가 국회에서 가결·시행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논란이 있었지만, 초고령화 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세상은 완전히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됩니다. 주인공의 카도야 미치는 남편과 사별해 혼자 생활합니다. 78세의 지금도 호텔의 청소원으로서 일합니다. 그러나 어느 날 고령을 이유로 퇴직을 강요당하고 사는 곳도 잃게 된 그녀는 <플랜 75>의 신청을 검토하기 시작합니다.

카도야 미치를 연기하는 것은 9년 만에 주연을 맡은 바이쇼 치에코입니다. 신청을 위해 관공서 창구에 갔다가 우연히 조카와 재회하는 외로운 노인 오카베 유키오는 타카오메가 연기합니다. 한편, <플랜 75>에 종사하는 젊은 세대로서 신청자 전용 콜센터에서 일하며 미치와 교류하는 나리미야 유코는 카와이 유미가, 시청의 신청 창구에서 일하는 유키오의 조카 오카베 히로무는 이소무라 하야토가 각각 연기합니다. <플랜 75>에 아무런 의문도 가지지 않았던 두 사람은 미치와 유키오와의 교류를 통해 그 불합리함을 깨닫고 갈등하게 됩니다.

미치는 78세로, 남편은 이미 사망했고 혼자 단지에서 살고 있습니다. 호텔 객실 청소원으로 일하며 좋은 생활을 하고 있지만, 같은 세대의 직장 동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그러나 실업과 단지에서의 퇴거 문제로 인해 그 생활이 위협받게 되면서, PLAN 75라는 제도가 홍보되기 시작합니다.
PLAN 75는 75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을 결정할 선택권을 주는 제도로,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히로미는 이 제도의 신청 창구에서 일하고 있으며, 우연히 삼촌 유키오의 신청을 알게 됩니다. 어리석은 삼촌이지만, 그의 인생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신청자는 도중에 의견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직원의 직무는 그것을 강요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치는 "잠자는 약"을 받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히로미가 있다는 것을 계기로, 부담 없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제 그들은 각각 자신이 선택한 행동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하야카와 치에의 첫 감독 작품인 이 영화는 칸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은 화제작입니다. 가까운 미래의 디스토피아를 그리며, 그 공포가 SF적 비현실이 아니라 일본 사회의 현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생각하게 합니다. '선택'이라는 명목 하에 노인에게 죽음을 강요하는 두려운 제도입니다. 실제로 많은 노인들의 삶의 수준은 저연금과 어려운 사회 보장 및 의료 제도로 인해 낮은 편입니다. PLAN 75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해외 신문에 게재된 영화 평론의 대부분은 각 나라의 ‘안락사’ 제도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2016년 캐나다가 법제화한 “죽음을 위한 의료 보조(MAiD : Medical Assistance in Dying)” 제도도 있습니다. 심각한 질병으로 계속 생존하는 것보다 죽음을 선택하는 사람에게 의사와 간호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캐나다는 국민 건강 보험이 잘 갖추어져 있어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없기 때문에 MAiD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시행 후 1년에 약 2000명이 이 제도를 이용했다고 합니다. 현행법은 MAiD 이용 조건에 정신 질환을 포함하지 않지만, 2023년 이후에는 포함될 예정입니다.
캐나다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스페인, 스위스, 콜롬비아, 호주 등에서도 ‘안락사’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중 일부 국가는 외국인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도 신청과 이용 실적이 있습니다.
'안락사'를 합법화한 대부분의 나라는 복지 선진국입니다. 조금 아이러니 하죠. 이 세상에는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이 많기 때문에, 살아남기 위해 그만두는 선택을 전반적으로 부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그런 선택을 한 사람에게 공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전제는 '생존의 선택'이 완전히 보장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현실에는 그 조건을 충족하는 나라는 없습니다. 그래서 '죽음의 선택'이 제도가 되는 것입니다. 될 수밖에 없다고 봐야죠.
또한, 제3세계에는 물과 음식이 부족하며, 기본적인 의료조차 받기 어려운 나라들도 있습니다. 평균 수명이 40년 정도로 짧은 나라도 존재합니다. 즉, '생존의 선택'의 보장이 완전하지 않거나 쉽지 않습니다. 선택의 여지 없이 그냥 죽는 사람도, 선택해서 죽는 사람도 있는 현 세계는 이미 디스토피아입니다. 우리의 현재는 가까운 미래의 디스토피아 PLAN 75와 이어져 있습니다.
PLAN 75는 신청자에게 요구하는 조건이 연령이라는 점에서 ‘안락사’ 제도와는 다릅니다. 이 작품에서는 PLAN 75가 노인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도 같은 레일을 타고 있어 선택을 강요당하는 사회를 그리고 있습니다. 그런 사회에서 아이들이 지금보다 더 태어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60세 이상의 자살률이 세계 9위인 일본에서 자살률을 낮추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PLAN 75 구현 사회에서도 의미가 있을까요? 현대판 고려장이 연상되는 대목입니다.
하야카와 감독이 희망을 보고 있는 것은 마지막에 미치와 히로미가 제도의 레일에서 벗어나 서로를 구하는 결정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예외적인 소수자이며, 희미하고 의지할 수 없는 희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사람들이 되돌아가면, 언젠가 디스토피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의료의 조력에 의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더 쉬운 상황을 만드는 것이 걱정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